분류 전체보기 (674)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글 드라이브/사진 백업을 위한 Backup & Sync 출시 및 사용방법 2017/06/15 - [IT/Worldwide IT] - 구글 드라이브의 개선, 백업앤 싱크(Backup and Sync) 출시 지난 달 중순에 이런 글을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구글 드라이브 개선을 위한 백업앤 싱크가 6월 말 출시된다고 하였죠. 그리고 7월 12일(추정) 출시가 완료되었습니다.당시 제가 썼던 글에서는 실제로 출시되면 사용해봐야 되겠다고 하였는데, 그런 의미에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구글 싱크 다운로드는 다음 주소에서 이루어집니다. http://www.google.com/drive/download (혹은 구글 드라이브를 들어가신 후 우측 상단에 '다운로드'를 누르면 백업앤 싱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를 받고 실행하면, 어떠한 절차도 없이 바로 설치가 완료됩니다. 참고로 저는 .. 인터넷방송 비교(유튜브, 아프리카, 트위치) 최근 블로그 글이 좀 뜸하게 되었습니다.업무 때문에 바쁜 탓도 있지만, 주3회 정도 인터넷방송을 3주 전부터 진행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넷방송을 하면서 회사일을 하고, 블로그까지 병행을 한다는 것은 참 쉬운 일은 아닙니다.하지만 온라인 컨텐츠와 관련하여 1인 미디어를 준비하고 있는 저에게는 여러 가지 시도이자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 점에서 현재 하고 있는 게임을 주제로 하는 방송을 시작하게 되었고, 어느덧 3주라는 시간도 흘렀습니다. 2017/06/18 - [Marketing/IT Marketing] - '1인 미디어 시대' - (1) 팟캐스트2017/06/18 - [Marketing/IT Marketing] - '1인 미디어 시대' - (2) 유튜브(Youtube)2017/06/1.. 게임 커뮤니티에 대한 단상 #3 - 2010년대 중반, 그리고 미래 우리나라사람들, 게임 참 많이 합니다.게임 장르를 불문하고서라도, 어떠한 게임이 있으면 그 게임은 항상 공식 홈페이지라는 것이 존재하는 법이지요.왜냐하면, 새로운 소식을 게임사에서 직접 유저들에게 전해야하고, 또 유저들끼리 대화하는 장도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게임 홈페이지가 과연 어떠한 형태로 흘러갔는지를 타임라인을 통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7/07/10 - [IT/Game] - 게임 커뮤니티에 대한 단상 #1 - 2000년대 초중반2017/07/12 - [IT/Game] - 게임 커뮤니티에 대한 단상 #2 -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2010년대 중반, 현재 - 시장의 3분화 2010년대 중반이라고 해서 2010년대 초반과 양상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습니다.오히려 20.. 게임 커뮤니티에 대한 단상 #2 -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우리나라사람들, 게임 참 많이 합니다.게임 장르를 불문하고서라도, 어떠한 게임이 있으면 그 게임은 항상 공식 홈페이지라는 것이 존재하는 법이지요.왜냐하면, 새로운 소식을 게임사에서 직접 유저들에게 전해야하고, 또 유저들끼리 대화하는 장도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게임 홈페이지가 과연 어떠한 형태로 흘러갔는지를 타임라인을 통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7/07/10 - [IT/Game] - 게임 커뮤니티에 대한 단상 #1 - 2000년대 초중반 2000년대 후반 - 3. 게임사 홈페이지 2000년대 중반까지는 디씨와 같은 규제가 없는 커뮤니티, 기본적 규제 보장되는 전문 커뮤니티에서 의견을 나누고 소통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한단계 더 나아가, 이제는 게임사도 홈페이지 관리를 본격적으로 하게 .. 게임 커뮤니티에 대한 단상 #1 - 2000년대 초중반 우리나라사람들, 게임 참 많이 합니다.게임 장르를 불문하고서라도, 어떠한 게임이 있으면 그 게임은 항상 공식 홈페이지라는 것이 존재하는 법이지요.왜냐하면, 새로운 소식을 게임사에서 직접 유저들에게 전해야하고, 또 유저들끼리 대화하는 장도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게임 홈페이지가 과연 어떠한 형태로 흘러갔는지를 타임라인을 통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90년대 말: 無 인터넷이라는 것이 발달되지 않은 시기였습니다.물론 PC통신이라는 것이 있었지만 한계는 분명히 있었습니다.즉 한마디로 없었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2000년대 초반: 공식홈페이지 / 유저홈페이지의 분리 아직 온라인게임이 활성화되던 시기는 아니였습니다.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해서 인터넷에서 접속해서 게임을 하기 시작한 시대였습니다... 17년 4월 대만 타이베이(台北) 3박4일 여행 - (10) 101타워(101觀景台) 지난 번 중국 칭다오(青岛)와 상하이(上海) 여행기에 이어서, 이번엔 대만(台灣) 여행기를 쓰게 되었습니다.대만 여행기는 글 작성 시점(2017년 7월)으로, 갔다 온 지 불과 두 달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내용을 알려드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지난 여행과는 다르게 해외 출장 시 겸사겸사해서 들린 곳이 아닌, 여행 자체를 목적으로 갔었습니다.일반적으로 대만 여행을 가는 데 있어서 많이 들리는 여행코스 위주로 하나하나씩 글을 작성할 예정이니, 대만 여행을 앞두시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인터넷에서 대만 여행을 찾으면 많은 블로그들이 있고, 그 곳에서 유익한 정보가 있을 것입니다. 어쩌면 관련된 정보나 사진 자체는 제 블로그가 아닌 다른 블로그에 유용한 정보들이 많이 있.. 장마 마케팅 영남일보 기사부터 링크하겠습니다.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70708.010120802560001 사진출처: 영남일보 기사 내용은 세 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1. 에어컨과 제습기 매출의 큰 증가에 따라, 제습기, 건조기에 대한 프로모션 강화 활동을 하고 있다.2. 장마철 패션아이템에 대한 인기도 늘어나고 있다.3. 비가 내리면 할인해주는 행사도 하고 있다. 이러한 마케팅은 제가 봤을 때에는, 굉장히 긍정적인 장마 마케팅이라고 생각합니다.그 이유에 대해서 하나씩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에어컨, 제습기 매출 증가에 따른 프로모션 강화 날씨가 더워서 에어컨과 제습기 매출이 증가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현.. 지니뮤직, 신촌 연세로 음악의거리 조성에 앞장선다 사진출처: ZDNet Korea 제가 기사 퍼나르는건 언제나 기사 내용보다 제 의견이 더 깁니다.기사를 그대로 퍼나르는건 너무 성의도 없고 글을 보는 분들이 원하는 컨텐츠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기사원문: ZDNet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2119549 요약하자면, 신촌 연세로에 QR코드가 삽입된 음악상징물 40개를 설치하기로 할 예정이랍니다.QR코드를 스캔하면 14개 장르 음악을 무료로 제공하고, AI기반 음악서비스 체험도 가능하다네요. 서대문구청은 8월 연세로를 음악의거리로 선포하고, 라이브공연장을 마련해서 음악이 끊이지않는 거리로 할 예정이라 하였습니다. 기사는 여기까지입니다. 굉장히..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