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74) 썸네일형 리스트형 Social Media와 단방향 마케팅(One-way Marketing) - (2) 앞선 글에서는 Social Media와 One-way Marketing의 차이에 대해서 언급을 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글의 말미에 언급했듯이, 단방향 마케팅(One-way Marketing)을 고수하는 분들이 왜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마케팅을 기피하려 하는 지에 대한 세가지 이유에 대해서 언급하도록 하겠고, 그 중 첫번째인 "부정적 의견의 우려"부터 작성하겠습니다. 2017/02/23 - [IT Marketing/IT Trend] - Social Media와 단방향 마케팅(One-way Marketing) - (1) 이 내용의 주요 출처는 아래 책에 있는 내용이니, 먼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풀 길린 지음, 전병국/황선영 옮김 - 멘토르 1. 부정적인 의견만 있을 것이라는 우려 뉴커뮤케이.. Social Media와 단방향 마케팅(One-way Marketing) - (1) IT 마케팅에 대한 여러 가지 내용을 블로그에서 다뤄보고자 글을 작성해 봅니다. 이번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Social Media와 단방향 마케팅(One-way Marketing)으로, 그 첫번째 글을 올려봅니다. 출처: slideshare.net - Eric Grandeo (Social Media Strategist at Roundarch) 1. 소셜미디어와 단방향 마케팅의 정의 먼저 단방향 마케팅이라 함은, 말 그대로 한쪽 방향으로만 제공되는 마케팅을 뜻합니다. 한쪽 방향이라 함은, 수익 창출을 위한 기업 또는 개인이 마케팅을 하는 데 있어서 제공자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겠지요. 단방향 마케팅의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TV광고, 버스 광고, 인터넷 광고 등 모든 종류의 광고가 대표적인 단방향.. (3) 마케팅 기본 - 일곱가지 기본요소 세 번째 글입니다. 마케팅의 개념, 일곱가지 기본 요소를 다루겠습니다. 사실 앞선 두번째 글은 다소 딱딱하고 지루하고 식상한 내용일 수 있어서 그냥 빨리 글맺음을 한 것도 있습니다. 이번 글은 두번째 글같지는 않을 것이니 앞서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017/02/19 - [IT Marketing/Theory] - (1) 마케팅 기본 - 판매(Sales)와 마케팅(Marketing) 2017/02/20 - [IT Marketing/Theory] - (2) 마케팅 기본 - 정의(Definition) 이번 본문의 내용 역시 아래 책을 참조하였음을 먼저 알려드립니다. 펀 마케팅(Fun Marketing) - 한수범 저, 보명Books (개정판 이전에 나온 책인데 있는게 이 책이라.. 어차피 이론서는 큰 차이는.. (2) 마케팅 기본 - 정의(Definition) 첫 번째 글에서는 판매와 마케팅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마케팅의 정의에 대해서 다뤄볼 예정입니다. 대부분 기본을 다루는 부분이라면 응당 정의가 먼저 나오는 것이 일반적일텐데, 왜 이 블로그에서는 마케팅의 정의를 두 번째에 다루었을까요. 그것은 판매와 마케팅을 사례를 들어 비교를 하여 기본적인 이해를 구한 다음, 마케팅의 정의를 들면서 좀 더 구체적이고 깊숙한 부분도 언급을 하기 위함으로 보면 될 것입니다. 2017/02/19 - [IT Marketing/Theory] - (1) 마케팅 기본 - 판매(Sales)와 마케팅(Marketing) 이번 본문의 내용은 아래 책을 참조하였음을 먼저 알려드립니다. 펀 마케팅(Fun Marketing) - 한수범 저, 보명Books (개정판 이전에 나.. (1) 마케팅 기본 - 판매(Sales)와 마케팅(Marketing) 마케팅 기본 이론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첫번째로 다루겠습니다. 모든 이론의 첫번째 내용은 가장 기본적이므로, 저 또한 마찬가지의 내용으로 첫맺음을 하고자 합니다. 책이나 인터넷 자료에 있는 내용은 어떻게 보면 장황하기도, 구체적으로 나와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제 블로그에서조차 무조건 구체적으로 다루기 보다는, 핵심적으로 다루어야 할 내용에 대해서만 짚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평소에 제가 올리는 글은 일부 자료에 대해서는 책이나 인터넷 문헌 등을 주요 참조로 하지만, 이번 글만큼은 제가 알고 있는 기본 개념과 기본 지식만을 가지고 참조 없이 작성해 보겠습니다. 그러므로 반문을 제기할 부분이 있다면 환영하며 보완이 필요할 경우 보완하겠습니다. 1. 마케팅 기본 - 판매(Sales)와 마케팅(Marke.. 앞서서. 마케팅 이론. 첫번째 글을 올리기 앞서서, 먼저 이 블로그를 보는 분들을 위한 몇 가지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마케팅 기본 이론에 대한 글은 인터넷 어디를 찾아도 너무나도 많이 있을 것이고, 책을 통해서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이런 수많은 이론서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이론이라는 것이 본래 그러합니다. 큰 틀을 유지하면서 정의된 내용을 알려주는 것이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제 블로그가 다른 블로그, 혹은 인터넷 상의 정보와 차별화될 수 있는 컨텐츠는 무엇이 될까요. 지금 연구하고 있는 Machine Learning - R Programming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저는 전문가가 되고 싶은 비(非)전문가입니다. 제가 동종 분야 전문가보다 지식 수준이 떨어질 수는 있어.. IT Marketing에 대한 고찰. 그리고 시작. 오랫만에 글 올립니다. 2017년 정유년 들어서 갑자기 글이 확 줄어들고 거의 올리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지난번 글에 잠깐 언급한 바 있었고요. 여러 가지로 고민하고 방향을 잡아나가는 과정입니다. 작년에는 IT 중심의 블로그로 재탄생을 하고자 하였고. 그 과정에서 Big Data 및 Machine Learning에 대한 학습도 하였습니다. 제 블로그에 관심을 가져주신 분들이 다수는 아니더라도 일부 계시는 것 같아서 먼저 감사드리며, 그 관심에 어긋나지 않도록 게시물은 자주는 아니더라도 지속적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IT Marketing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시장 분석을 해 보았습니다. 사실 이 블로그에서는 일부 소수의 게시물을 통해서 이슈나 특정 사항에 대한 고찰을 한 .. 한동안 글이 없었네요. 작년 말까지 블로그활동 열심히하다가 2017년들어서 갑자기 글을 안쓰게 되었네요.게을러진 탓도 없지는 않지만, 업무환경이 많이 바뀌었기 때문이랄까요. 사실 작년에 블로그 재개도 하고 여러가지 공부도 한 여러가지 원인이 있었습니다. 제 잃어버린 IT 감각을 다시 살리면서 뭔가 좀 올바르게 대응하려는 것도 있지만,결국은 업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거죠. 직장인이니까. 그런데 작년 2016년 근무환경은 거의 최악이였고.근무의욕도 완전히 사라진상태에서 거의 태업하다시피했던것도 사실이였고.그러다보니 다른 할 것을 찾고 그랬던 것 같았습니다. 주로 글을 쓴 시간은 근무시간이였죠. 일하기 싫어서. 그 시간에 글을 쓴것도 있었고. 사실 그게 잘한짓은 절대 아닙니다.그러나 왜 그정도 상황까지 왔는가를 돌이켜보면, 총체..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85 다음